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어컨 제습기능과 냉방모드 사용 시 소비전력과 전기세/전기요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삼성전자 연구원들의 실제 실험과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. 에어컨 제습/냉장의 효과 및 차이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에어컨 냉방과 제습 전기세 비교 분석
냉방 vs 제습 실제 전력량
실험에서는 각 모드별 2시간 연속 가동 했을때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였습니다.
- 냉방모드: 1.33 kWh (2시간 기준)
- 제습모드: 1.37 kWh (2시간 기준)
차이 분석
실제로 냉방과 제습모드에서 전기 사용량이 차이가 있긴 하지만 무시할 수준의 아주 작은 차이였습니다.
- 전력 사용량 차이: 0.04 kWh (제습모드가 3% 더 많이 소비)
- 시간당 평균 소비량:
- 냉방모드: 0.665 kWh/시간
- 제습모드: 0.685 kWh/시간
에어컨 전기세 분석 : 한 달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?
에어컨 소비전력 기준
- 벽걸이형 인버터 에어컨: 시간당 0.8kWh
- 하루 12시간 사용: 9.6kWh
- 월간 총 소비량: 288kWh
2025년 7월 전기요금 체계 (하계 누진구간 적용)
- 1단계 (0~300kWh): 120.0원/kWh
- 2단계 (301~450kWh): 214.6원/kWh
- 3단계 (451kWh 이상): 307.3원/kWh
- 연료비조정단가: +5원/kWh
가정별 전기세 상세 분석
1인 가구 원룸 (기본 전력사용량 150kWh)
- 에어컨 없이: 23,888원
- 에어컨 12시간/일: 83,395원
- 한 달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추가비용: 59,507원
2인 가구 (기본 전력사용량 200kWh)
- 에어컨 없이: 31,506원
- 에어컨 12시간/일: 106,877원
- 한 달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추가비용: 75,371원
4인 가구 (기본 전력사용량 250kWh)
- 에어컨 없이: 39,124원
- 에어컨 12시간/일: 125,143원
- 한 달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추가비용: 86,019원
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
연구 결과에 따르면 계속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그냥 쭉 켜두는 게 낫다고 합니다.
- 90분 이상 외출 → 에어컨을 끄고 나가기
- 90분 이하 외출 → 그대로 켜두고 나가기
실험 데이터로 증명된 사실
- 30분 외출 후 재가동: 연속 운전 대비 전력 소비량 5% 증가
- 60분 외출 후 재가동: 연속 운전 대비 전력 소비량 2% 증가
- 90분 이상 외출: 끄고 켜는 것이 더 효율적
추가 절약 팁
- 사용하지 않는 방의 문을 닫기
- 냉방할 공간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 극대화
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
에어컨을 오래 쓰다 보면 에어컨에서 쉰내가 나기도 하고, 송풍으로 말릴 때 시큼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. 저도 삼성 스탠드형, 벽걸이 2in1 에어컨을 사용하면서 이런 냄새를 겪은 적이 있는데
thirdplace.tistory.com
에어컨 제습 냉방 차이 및 효과(실제 연구)
벌써 너무 덥습니다. 에어컨이 풀가동 되면서 전기세 걱정도 됩니다. 오늘은 삼성전자 에어솔루션 전문기술랩 연구원들이 실제 연구개발 과정에서 도출한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에어컨 냉
thirdplace.tistory.com
'정확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어컨 송풍 기능 전기세 분석 (실제 데이터 기반) (1) | 2025.07.03 |
---|---|
에어컨 전기세 계산 : 원룸형, 스탠드형 월 전기요금 비교 (2025년 기준) (1) | 2025.07.02 |
에어컨 제습 냉방 차이 및 효과(실제 연구) (2) | 2025.07.01 |
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 (2) | 2025.06.24 |
전국민 25만원 지급시기 (3) | 2025.06.20 |